본문 바로가기

제주항공 리튬배터리 규정 강화! 필독하세요

power of knowledge 2025. 2. 6.
반응형

제주항공 리튬 배터리 규정 강화

제주항공이 2월 6일부터 리튬 배터리 관련 규정을 더욱 강화하며 탑승객들에게 이에 대한 동의 절차를 추가했다. 모바일 및 키오스크 체크인 단계에서 새로운 규정을 확인하고 동의해야만 수속이 가능하게 변경되었다. 이는 리튬 배터리로 인한 화재 위험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한 항공 운항을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강화된 규정은 리튬 배터리를 직접 소지하고 눈에 보이는 곳에 보관하는 것을 의무화하며, 기내 선반 보관을 금지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휴대 가능한 리튬 배터리 용량 및 개수 제한

제주항공의 리튬 배터리 휴대 규정은 배터리 용량과 무게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100Wh 또는 2g 이하의 배터리는 보조 배터리의 경우 1인당 5개까지, 노트북이나 카메라 등 리튬 계열 배터리가 장착된 전자기기는 1인당 15개까지 휴대할 수 있다. 이보다 높은 용량인 100Wh 초과 160Wh 이하, 또는 2g 초과 8g 이하의 배터리는 1인당 2개까지 휴대 가능하다. 그러나 160Wh 또는 8g을 초과하는 리튬 배터리는 기내 반입이 불가하며 위탁 수하물에도 넣을 수 없다. 이러한 규정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기준에 따라 강화된 것으로, 배터리 용량별 위험도를 반영한 조치이다.

기내 리튬 배터리 보관 및 관리 규정

탑승객이 기내에서 리튬 배터리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제주항공은 리튬 배터리를 반드시 탑승객이 직접 소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좌석 앞 주머니 또는 가방 속에 넣어 눈에 보이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기내 선반 위 보관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 규정을 위반할 경우 승무원의 안내에 따라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는 배터리가 외부 충격으로 인해 손상될 위험을 줄이고, 과열이나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또한, 배터리가 과열되거나 이상 증상이 발견될 경우 승무원에게 즉시 알리는 것이 중요하며, 제주항공은 이를 기내 안내 방송을 통해 지속적으로 고지하고 있다.

강화된 안내 및 승객 동의 절차

제주항공은 리튬 배터리 규정을 보다 철저하게 안내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탑승객들은 모바일 또는 키오스크로 체크인할 때 리튬 배터리 관련 규정을 확인하고 이에 동의해야만 체크인이 완료된다. 또한 탑승 게이트에서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4개 국어로 해당 규정이 안내되며, 홈페이지 및 모바일 탑승권에도 동일한 내용을 추가했다. 국내선 지류 탑승권에도 이 규정이 명시되어 있어 모든 승객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내에서도 객실 승무원이 리튬 배터리 직접 소지 및 보관 방법에 대해 두 차례 안내 방송을 실시하고 있으며, 화재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강화된 규정 시행 배경과 향후 전망

최근 전 세계적으로 리튬 배터리로 인한 항공기 사고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각 항공사들은 안전 규정을 점점 강화하는 추세다. 제주항공 역시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맞춰 리튬 배터리 관리 규정을 더욱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다. 이는 기내 화재를 예방하고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조치로 볼 수 있다. 앞으로도 제주항공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추가적인 안전 조치를 검토하며, 규정 준수 여부를 철저히 관리할 예정이다. 탑승객들도 보다 안전한 여행을 위해 리튬 배터리 관련 규정을 숙지하고 이를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댓글